반응형
'켈빈-헬름홀츠 구름'은 과연 무엇인가
상, 하층 기류 속도 차에 의해 발생
지난 수요일 온타리오주 하늘에서 나타난 기이한 구름 형태가 온라인상에서 크게 화제 되고 있다. 이 구름은 파도가 치는듯한 독특한 형상으로 런던, 브랜트퍼드, 우드스톡 등 온주 내 여러 지역에서 목격됐다.
소셜 미디어에서는 해당 구름 사진이 빠르게 퍼지며 형성 원인에 관한 여러 추측이 오갔지만 이번 현상은 '켈빈-헬름홀츠 구름(Kelvin-Helmholtz)'인 것으로 밝혀졌다.
미국 기상청(NWS)에 따르면 이 구름은 하층의 차가운 기류 위로 따뜻한 기류가 이동하면서 형성된다.
성질이 다른 두 기류가 마찰을 일으키며 발생하게 되는데, 두 기류의 속도 차가 너무 크면 경계면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에 구름이 형성될 수 있을 만큼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.
이번 현상을 두고 기상학자들은 "켈빈-헬름홀츠 구름이 형성되는 것은 매우 드문 케이스"라며 "진귀한 현상인 만큼 밖에 나가서 구경한다면 좋은 경험이 될 것"이라고 전했다.
반응형